K패스 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안내 최신판
K패스 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안내 최신판
지난 4월24일에 K패스 교통카드 발급이 시작되었습니다. 이후 5월1일 K패스 홈페이지가 오픈하면서 사업시행이 시작되었습니다. 언론에서도 대대적인 홍보가 있었고 혜택이 워낙 큰 것으로 알려지면서 많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 K패스 교통카드의 모든 것을 지금부터 파헤쳐 보겠습니다.
K패스 카드 혜택
월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 한해 일반인 20% 청년30% 저소득층 53%를 다음달 환급합니다 (주의 : 해당 카드 이용하는 모든 분들에게 환급해 주는 것 아님)
K패스 교통카드 적립액 | |
대중교통요금 | 요금에 따른 적립률 |
일반 | 20% |
청년(19세~34세) | 30% |
저소득층 | 53% |
비고 | 출발,도착기록 (X) 이동거리 무관 (15회 이상 이용시 최대60%) |
K패스 교통카드 사업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교통비 절감효과를 주고 대중교통이용의 촉진과 활성화를 위해 시행되는 사업입니다. 매일 발생하는 교통비는 한달의 중요한 필수 고정지출인만큼 일정금액을 환급해주는 K 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환영받고 있습니다.
K패스 혜택 가능한 대중교통
전국 마을바스, 시내버스,광역버스,지하철, GTX 광역급행철도노선



K패스 첫 달 혜택부터 알뜰하게 챙기려면
첫달에 한해 월15회 이용시 적립금 지급과 최대 월 60회까지 연간 720회 한도로 지원
K패스 신청방법 발급카드사
K패스는 농협,국민,BC,신한,하나,우리,현대,하나,삼성 등 총 10개의 카드사에서 발급가능합니다.또한 K패스의 할인과는 별도로 각 카드사마다 이용실적에 따른 추가 적립 혹은 할인이 존재하므로 좀 더 다양한 혜택을 누리기 위해선 카드도 잘 고르는 현명함이 필요한 듯 합니다
알뜰교통카드와 차이점
대중교통 이용자라면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쓰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. K패스로 전환이 가능합니다. 일단, 동일한 혜택은 월15회이상 이용시 혜택이 주어진다.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보행이나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해서 지급되었다면 K패스카드는 요금에 따라서 지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 쉽게 말하면 기존의 불필요한 단계들이 모두 삭제되었고 보다 더 편리하고 이용자들에게 유리하게 바뀌었다는것이다
알뜰교통카드적립액 | |||
대중교통요금 | 2천만원 이하 | 2~3천원 | 3천원 이상 |
일반 | 최대 250원 | ~350원 | ~450원 |
청년(19세~34세) | 최대 350원 | ~500원 | ~650원 |
저소득층 | 최대 700원 | ~900원 | ~1,100원 |
비고 | 출발,도착,기록필수,이동거리 비례 적립 (최대600미터,15회 이상 이용시 최대60회) |
만약 4월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사업의 종료를 모르고 K패스 교통카드로 전환을 하지 않았다면 K패스 카드를 새로 발급받고 홈페이지에서 K패스로 새롭게 신청을 해야 합니다.